top of page
청개구리제작소
PROGRAM 7

언메이크 랩 읽기 자료

 

제작기술문화와 관련해 총12편의 공통의 읽기 자료를 준비했으며 관련된 트랙의 오픈 세미나에 배포되었습니다. 이 읽기 자료는 언메이크 랩 아카이브 전에도 비치됩니다. 차후 파일 형태로 공유할 수 있는 자료는 PDF 파일로 재공유 됩니다.

 

고쳐쓰는(tinkering) 시대에 존재론적 불복종이란 : 크라우드소싱 데이터인가, 해킹 하드웨어인가? 데니사 케라 Denisa Kera노동계급의 다른 형성과 제작자의 부상 요한 소더버그 Johan Söderberg메이커 문화와 일본 사회 하마다 다다히자 浜田忠久정보와 참여의 정치학: 디지털 시민성과 대중 과학폴 도리쉬 Paul Dourish제작 – 놀이이자 노동 조동원 Cho Dong won제작과 정보기술의 아크로바틱 청개구리 제작소 Fabcoop중국의 해커스페이스, 혁신, 노동 데이비드 리, 실비아 린트너와의 인터뷰 화폐없이 부를 재생산하기, 한 번에 3D 프린터 하나씩: 도구적 이성의 꾀(간계) 요한 소더버그 Johan Söderberg구로 디지털 단지 괴담 (a.k.a 구로공단) : 창의도시에서 누락된 생산의 손들 최영숙 Young sook Choi DIY 시민권, 비판적 제작, 그리고 커뮤니티 케이트 올튼-존슨 Kate Orton-Johnson재고된 투명성: 전자섬유를 통한 창조적이고, 비판적이고, 접속된 제작 야스민 B. 카파이Yasmin B. Kafai 카일리 A. 페플러Kylie A. Peppler저항의 커뮤니티를 개발하기? 메이커 교육학, DIY 페미니즘, DIY 시민권 레드 치드지Red Chidgey

UNMAKE LAB
 
사용자ㅣ청개구리제작소
일시ㅣ2014년 10월 10일-10월 26일

일정_10일 : 아카이브 전 오픈 

11-12일 : 기술놀이와 해킹 2 : AS IS CLUB & B-Y-O-P x 다이애나 밴드 

17일 : 공공 도큐멘트 3 : 다들 만들고 계십니까? 출간 기념 포럼 / 

18일 : '양털 폭탄 연구실' 전자 바느질 x 심재경 

19일 : '양털 폭탄 연구실'  키트 만들기 x 달군

22일 '공간의 발명' 라운드 테이블 

23일 : 'D.I.Y 시민' 포럼 x 최영숙 

26일  : 스크리딩 : 디지털 픽션 워크숍 & 전자 쓰레기 리서치 x  린다 & 안드레아 

26일 : 언메이크 랩 클로징 파티

(워크숍과 포럼, 전시, 아카이브, 캠프로 이루어진 연구실 입니다.새로운 도구와 기술을 익히기 보다는 그러한 대상을 보고, 다루고, 생각하는, 새로운 방법을 비평적으로 익히기 위한 연구실입니다. 생활과 체계, 개인과 사회, 인간과 비인간, 물질과 비물질을 연결하며 ‘다르게 만들기’를 실험하는 연구실입니다. 연구실에는 활동가, 기술자, 예술가, 디자이너등 다층적 맥락의 사람이 모여 일시적 집단을 이룹니다. 이 시대의 사건과 설득자, 개입자, 촉진자들의 프로젝트와 앙상블을 이룹니다. 이곳에서 협업과 개방지식, 도구 그리고 몸을 기반으로 비트(bit)와 아톰(atom)을 가로지르며 배우고, 가르치고, 공유합니다.건설적인 목표 뿐 아니라 그 과정 자체에서 느껴지는 순수한 즐거움을 탐색합니다.그리하여 우리는 ‘생산하기’ 뿐 아니라 ‘생산하지 않기’ 혹은 ‘망치기’의 방식도 익히게 될 것입니다. 그 과정들이 공통의 질문으로 만들어 지길 바라며 그 질문을 다음의 과정으로 삼기를 바랍니다. 이 과정들을 통해 시민 연구실과 일시적 학교의 한 가능성을 실험합니다.자세한 내용은 www.unmakelab.org Unmake Lab은 청개구리 제작소가 쏘아 올리고작업자, 사건들, 자연물, 사물들, 장치들, 기술들의 협업으로 만들어지며<아름다운 재단> ‘변화의 시나리오’가 지원을 합니다.

사일삼로고 블랙.png
bottom of page